2025 기후정의 페스티벌

기후위기 해결, 기후정의 실현을 위해 모인 대학생들이 시민들에게 기후위기와 얽힌 다양한 사회 문제들과 해결 방안들을 알리기 위해 "부스"와 "무대"를 만들고 있습니다.

  • 목표액 2,000,000원 중 0%
  • 0.00
  • 0 명 후원
  • 16일 남음
  • 이 후원함은 2025-09-06에 종료됩니다.

이 후원함에 대하여

01. 단체 소개

  대학생기후행동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지속가능한 생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2020년 10월 31일 출범한 대학생 기후정의 단체입니다. 현재 강원, 경기, 광주, 서울, 인천, 전북, 제주 7개 지역에서 약 335명의 회원이 함께 활동하며, 각 캠퍼스에서부터 기후정의를 위한 다양한 실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올해 5월 초, <봄 농민학생연대활동>을 통해 기후위기와 식량위기의 연관성을 배우고, 농민과 학생의 연대를 다지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7월에는 <코리아비건페어 2025>에 참가해 부스를 운영하고 세미나를 진행하며 많은 시민들과 기후위기에 대해 공감하고 소통했습니다. 또 7월 말에는 <기후방범대>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재난 피해 지역을 찾아가 피해 주민들과 함께 연대하고 배움의 장을 갖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대학생기후행동은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기후위기 문제를 널리 알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02. 페스티벌 취지 

  2025년 9월 6일, 대학생기후행동은 서울 마로니에 공원에서 ‘기후위기를 넘어, 초록의 내일로’를 슬로건으로 기후정의 페스티벌을 개최합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알리고, 지속가능한 생태사회의 모습을 부스와 공연을 통해 함께 상상하고 체험해보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기후정의 사회로 향하는 여정을 표현하고자 ‘오즈의 마법사’ 컨셉으로 페스티벌의 플롯을 구성해보았습니다. 페스티벌에서 만나게 될 여정은 기후부정의 현실을 마주하고, 연대를 통해 변화의 길을 찾으며, 궁극적으로 우리가 꿈꾸는 대안사회를 구현하는 체험이 될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을 31개의 세부 키워드로 풀어낸 부스를 통해 시민들과 함께 풀어낼 예정입니다. 오즈의 마법사 컨셉을 활용, 심미적 요소 등을 가미해 기후위기를 보다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경각심을 갖게 하며, 이를 통해 참여자 모두가 ‘초록의 내일’을 향한 여정의 주인공이 될 것입니다.

  기후정의페스티벌은 단지 환경 문제만을 이야기하는 자리가 아닙니다. 우리가 처한 기후부정의의 구조적 문제를 되짚고, 시민들과 함께 정의로운 생태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무대, 부스, 굿즈 제작, 체험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시민 누구나 쉽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박스를 재활용한 부스 설치, 친환경 소재 사용 등 실천적 시도로 빚은, 말뿐이 아닌 행동으로 정의로운 전환을 모색하는 페스티벌을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기후정의가 실현된 세상으로의 도약에 함께 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03. 페스티벌 구성

  •  < 2025 기후정의 페스티벌 >에서는 부스와 무대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부스에서는 기후위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키워드'를 주제로 . 부스 형식은 사진 전시회, 게임, 퀴즈 등 체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진행될 예정입니다. 키워드에 대한 상세 해설은 다음 쪽에 첨부하였습니다.

 무대에서는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들, 페스티벌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직접 하는 공연들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기후위기와 기후정의를 재밌있게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당일 일정표 >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시간

일정

14:00 ~ 15:00

부스 준비

15:00 ~ 16:00

부스 운영 및 사전 무대 프로그램 운영

16:00 ~ 17:00

17:00 ~ 18:00

18:00 ~ 19:00

본 무대 프로그램 운영

 

< 키워드 > 

개발

성장을 위해 다양한 개발을 해 온 우리 사회에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환경, 사회 문제들을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국립공원 개발 / 지역 개발 / 산업단지 개발 / 도시 개발

교통

기후위기와 대기오염의 주범인 교통을 지속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어떻게 감소시키고, 기후정의 관점으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대중교통 / 내연기관차의 대안은? / 교통 지하화 / 이동권

노동

기후위기 시대에서 재난에 쉽게 노출되고, 산업 구조 변화에 고용과 생계를 위협받는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노동을 위해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지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산업재해 / 정의로운 전환 / 노동권이 존중받는 사회

대학

에너지 다소비 기관 중 하나인 대학에서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과 대학 뿐만 아니라 다른 교육 기관에서도 기후위기를 잘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위해 필요한 것을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그린캠퍼스 / 대학 내 환경 문제 / 기후·환경교육

재난

기후위기로 인해 이상기후가 빈번해지고, 재난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재난의 피해는 불평등하기도 합니다. 기후재난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우리 사회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지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산불 / 폭염과 폭우

산업

산업화 이후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우리나라의 산업계도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여러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산업은 어떤 측면에서 기후위기를 야기하고,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생산 체제 / 우리나라 주요 산업

생태

기후위기는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생태를 보존하고, 모든 생명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기후정의 관점에서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생물 다양성 / 모든 생명의 권리 / 에코페미니즘

식량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세가지 요소 중 하나는 음식입니다. 기후위기로 가속화되고 있는 식량 위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량 자급률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음식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지속가능한 농업 / 지속가능한 어업

쓰레기

쓰레기가 환경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쓰레기 발생 뿐만 아니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쓰레기 매립, 소각 / 분리수거와 재활용

에너지

온실가스 배출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는 우리의 생존과 연결되어 있기도 합니다. 모두가 안정적이고, 깨끗한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에너지를 어떻게 생산하고, 소비해야 할 지 기후정의 관점으로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에너지 불평등 / 에너지 생산 / 에너지 분배

평화

전쟁의 불안에서 쉽게 벗어날 수 없는 우리나라의 상황과 현재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국제적인 상황들 속에서 기후정의를 위해 평화가 왜 필요한지 함께 고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주제 : 전쟁과 군대 / 기후 난민, 환경 난민 / 통일

04. 2025 기후정의 페스티벌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대학생기후행동은 기후위기 문제를 널리 알리고, 정의로운 생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모인 대학생 회원들의 회비와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 2025 기후정의 페스티벌 > 취지에 공감하신다면, 페스티벌에서 부스와 무대 공연을 포함한 다양한 행사들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소셜펀치 외 후원 방법]

계좌 : 카카오뱅크 3333-31-7316152 (김소현 : 기후정의 페스티벌 사무 담당자)

대학생기후행동

대학생기후행동

  대학생기후행동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지속가능한 생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2020년 10월 31일 출범한 대학생 기후정의 단체입니다. 현재 강원, 경기, 광주, 서울, 인천, 전북, 제주 7개 지역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기후정의를 알리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